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1)
난방 관련(분배기, 난방 배관 등) 난방 관련 포스팅입니다. 1. 분배기 난방 방식으로 세대별 보일러를 사용하는 집의 경우 분배기가 설치되어있기 마련입니다. 보일러를 거쳐 뜨거워진 난방수는 집안 바닥 곳곳에 깔린 배관을 통해 바닥을 덥히게 됩니다. 이 때 항상 집 안 전체를 모두 난방할 필요는 없으므로 구역별로 배관을 깔아주고 구역별로 난방수를 공급/차단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설비가 분배기입니다. 대략적인 분배기의 역할을 그려봤습니다. 예를 들어 손님방으로 쓰는 작은 방이 있다면 이 방은 항상 난방을 가동할 필요가 없겠죠? 따라서 손님이 오실 때만 작은 방의 난방 밸브를 열어주면 될 것입니다. [분배기 구분 : 구 수] 그림의 밸브 갯수에 따라 3구 분배기/4구 분배기/5구 분배기 등 n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밸브 수가 늘..
리모델링 평면도 만들기 집 리모델링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평면도가 필요합니다. 여러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 게시되어 있는 평면도도 있지만, 이는 대략적인 형태만 나타내줄 뿐 수치가 빠져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확한 길이, 너비 정보가 없다면 가구 배치도 할 수 없을 것이고, 인테리어 견적 역시 부정확해질 것입니다. 따라서 리모델링 계획 수립을 위해 수치가 포함된 정확한 평면도를 구해야 합니다. 평면도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제가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리사무소에 준비되어 있는 동별 도면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방문하셔서 도면 열람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열람자 확인을 위해 입주자카드 혹은 매수계약서를 지참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저는 관리사무소에 방문할 시간이 안되어서..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3] 업체 선정 리모델링을 준비하다보니 정말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우선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셀프 인테리어] : 리모델링을 하려는 주체가 직접 시공을 해야 합니다. - 각 공정을 모두 직접 시공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전문가급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 모든 공정에 전문가가 될 수는 없으니 하자율도 높고 공사기간도 오래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 다만 인건비를 모두 자체 해결하므로 당연히 공사가격이 저렴해집니다. → 따라서 셀프 인테리어는 공사비를 아끼려는 '일부' 공정에만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직영 발주] : 리모델링 공정별로 시공업자/업체를 직접 섭외해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 직접 공사하진 않지만 공정순서를 알아야 하고, 하자..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2] 컨셉 선정 집은 모두 다 똑같은 줄 알았습니다. 독립 이후 이사를 정말 많이 다녔었는데, 적당히 깨끗하면 저에게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다보니 그게 아니었습니다. 모든 집들은 각자 다른 컨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처음 자취했던 방은 노란 장판을 쓰는 집이었는데, 끝 부분을 살짝 들어보면 곰팡이가 잔뜩 피어있었죠. 지금보니 페트 장판이라고 하는 것으로 추측되는데 매우 저렴해서 임대용 집에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장판 아래의 곰팡이가 떠올라서 장판은 바닥재로 제외하기로 합니다. 그런데 찾다보니 바닥재의 종류가 정말 많습니다. 마루는 [강마루/강화마루/원목마루], 타일은 [포세린타일/폴리싱타일 등] 선택지가 많더라구요... 이제보니 도배/샷시/화장실 등 고를게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결국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1] 준공된지 약 20년 된 아파트로 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전에 거주하시던 분들이 내부 수리를 거의 안하셨다고 하네요. 내부 상태가 좋지 않아 리모델링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내부 인테리어에 대해 찾아보다보니 공부하고 알아봐야 할 것들이 정말 많더군요. 정보가 너무 많아 정리가 필요하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리모델링 도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이 도전기가 저에게, 그리고 리모델링에 도전하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