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11] 8~11일차 - 목공 2~5일차

2021.09.27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1]

2021.09.27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2] 컨셉 선정

2021.09.27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3] 업체 선정

2021.10.08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4] 1일차 - 철거

2021.10.09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5] 2일차 - 철거, 조적

2021.10.10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6] 3일차 - 철거

2021.10.11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7] 4일차 - 철거

2021.10.12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8] 5일차 - 미장, 설비

2021.10.13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09] 6일차 - 샷시

2021.10.14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 구축 리모델링 도전기 [010] 7일차 - 목공 1일차

8~11일차 공정 목표 :  벽 수평/수직 가벽(가베) 작업, 라인조명 설치부 목공, 전기작업(콘센트, 스위치 설치)

철거에서 지연된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 목공은 인원을 더 투입해서 진행 중입니다. 속도감 있게 진행되다보니 목공 부분을 묶어서 포스팅합니다. 집 내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작업대에서 나오는 온갖 가루와 소음은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목공 4일차쯤되어 타카 소리가 귀에 익을 때 쯤 작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방과 거실에 설치된 목공 작업대


히든도어, 무문선, 무몰딩 작업
가벽(가베) 작업

거실과 주방, 즉 집에서 방을 제외하고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히든도어, 무문선, 무몰딩 인테리어를 진행하기로 했기에 가벽 작업을 계속 진행해줍니다. 히든도어, 무문선, 무몰딩에서 가벽 작업이 필수인 이유는 벽과 바닥, 벽과 천장의 수직, 수평을 만들어주기 위함입니다. 가벽은 2겹으로 시공하는데, 레퍼런스인 유튜브 인테리어쇼와 달리 테파보드 대신 전부 석고보드로 겉 면을 마감하기로 했습니다. 테파보드로 작업해야 퍼티 작업량이 줄어 페인트가 빨리 진행될 것 같은데 턴 키 사장님은 이유모를 자신감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조금 불안합니다.

 

[거실]

가벽을 만들면서 TV 벽걸이용 브라켓을 매립할 박스를 제작했습니다. 천장부엔 다운라이트를 계획대로 설치하기 위해 정해진 크기대로 타공을 해두었으며 라인조명을 끼우기 위한 틀 역시 제작하여 천장에 부착한 상태입니다. 조명 계획을 미리 턴 키 사장님께 드려서 계획대로 타공은 되었으나, 스위치 배선이 꼬여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부분은 재시공을 요구했으나 목공 마감이 빠르게 마감된 상태라 일부만 바로잡고, 적당히 타협할 수 있는 부분은 양보해서 진행했습니다.

거실 가벽 작업 진행 전/중/후

[주방]

주방의 경우 콘센트 신설부가 많기에 전기 작업과 병행해서 진행합니다. 주방 상부장 아래 매립할 T5 조명의 전원까지 고려하여 전기선을 빼두어야 합니다. 라인조명이 거실과 이어지므로 틀을 시공해줍니다. 주방의 가벽 작업이 끝나면 주방 가구가 들어올 공간의 길이와 너비가 확정되기 때문에 가구 업체를 불러 실측을 진행합니다.

주방 전/가벽설치 중/후

[히든도어]

도어는 힘을 많이 가해지는 부분이기에 신경써서 시공해주셨습니다. 45mm 도어를 주문해서 현장에서 재단해서 사용하시더라구요. 도어 윗 부분을 '인방'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도어를 달고나서 마감하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히든도어 설치는 마지막날에 이루어졌습니다. 작은 방과 안방의 경우 도어 부분의 가벽을 통해 인터넷선을 노출없이 방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었습니다.

2021.10.19 - [인테리어] - 구축 랜 포트 설치 작업(랜작업/랜선작업/인터넷설치)

도어 역시 하자를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 유독 하나의 도어만 이상한 점을 느꼈는데, 문고리가 시공되지 않은 상태긴 했지만 문을 닫으면 힘을 받은 것처럼 다시 열리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턴 키 사장님께 확인을 부탁했지만 문고리를 달면 문을 닫았을 때 고정되므로 하자가 아니라고 말씀하셔서 '내가 민감한건가?'라는 생각을 했는데, 목공을 불러 확인해보니 실수로 경첩을 휘게 만들어서 생기는 문제라고 답변 받았습니다. 시공에 실수가 있었는데도 목공이 인테리어 업체에 얘기도 안하고 철수할 뻔했습니다.

도어작업

 

베란다 부분 마감 작업

 

[거실 베란다 확장부]

베란다 확장부의 경우 콘크리트 천장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천장을 새로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꼼꼼히 단열해준 후 기존 천장의 높이와 맞게 천장을 만들어줍니다. 이 부분에서 새로 만들어진 천장의 중간부분이 아래로 쳐져있는 하자를 발견하게 됩니다. 눈으로 봐도 상당히 기울어져 있는 모습을 확인했는데, 60cm짜리 수평계를 대어봤을 때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의 높이 차이가 2cm 가량 벌어져 있는 모습이 확인되어 재시공 요청을 했습니다. 천장을 뜯어보니 단열을 위해 시공한 우레탄 폼이 과하게 충진되어 부풀어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목공분이 하자를 인정하지 않으셨으나 턴 키 사장님의 개입으로 다행스럽게 현재는 재시공되어 평평한 모습이 되었습니다.

베란다 확장부 천장 만들어주기

[주방 베란다]

주방 베란다 역시 천장과 벽체 작업을 해줍니다. 이 부분은 원래 확장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이중창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되어 확장 없이 진행하기로 한 부분입니다. 터닝도어로 구분될 공간이지만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가 이 곳에 설치되기에 확장에 준하여 단열을 하고 마루와 벽지를 시공하기로 했습니다. 냉장고를 베란다로 빼기 때문에 콘센트와 천장 등 역시 신설되어야 하고, 깔끔한 마감을 위해서라도 벽체 작업은 필수적입니다. 한겨울을 제외하고 터닝도어를 열어놓고 산다는 가정하에, 보일러는 따로 분리해주어야 배기 가스가 누설되더라도 안전하기 때문에 보일러 부분은 ABS 도어를 설치하여 공간을 분리해주었습니다. 사진의 ABS 도어 틀에 각재가 끼워져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는 벽과 틀 사이의 우레탄 폼이 과다하게 부풀어올라 틀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주방 베란다 벽체 시공 모습

 

기타 목공작업 - 화장실

 

[화장실 젠다이 및 탑볼 세면대 설치대 작업]

왜 화장실에 목재를 사용하는지는 이해가 되지는 않습니다만, 탑볼 세면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와 젠다이를 목공으로 시공하셨습니다. 물론 타일로 마감을 할 것이기 때문에 물이 스며들지만 않는다면 괜찮겠지만 조금은 불안한 모습입니다. 타일이 다음 공정이므로 잘 마감되는지 꼭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화장실 내 목공 시공


5일간의 목공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집 내부가 굉장히 많이 변화함을 느낄 수 있는 주였습니다.

 

목공 작업 중 배운점
1. 하자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며 수정하는데 오래걸린다면 작업자가 하자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즉시 수정을 요구해야 한다.
2. 스위치 배선 등은 바로 켜 볼 수 없기 때문에 누락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 작업자에게 명확한 오더를 이해하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물어봐야 한다.